초저온 저장탱크들은 일단 2중케이싱은 기본이다.
2중 케이싱 사이에 펄라이트와 같이 단열재를 넣는 경우도 있으며, 결국 목적은 단열이다.
하지만 아무리 단열을 잘해도 열전달이 발생하여 탱크 내부에서는 LNG의 기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NG 또는 BOG들을 빼주어야 하는데
이것들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유형이 또 달라진다.
1) 버린다
2) 다시 액화시킨다.
3) 바로 쓴다.
이렇게 세가지로 볼 수 있고 대부분은 1번과 3번을 혼용하는 체제이다.
즉 Vent line과 가스이송line이 필요하다.
내부의 압력과 레벨을 측정하여 버리거나 가스로 바로 써버리기때문에
필수적인 계측기로 LT, LIA, PT, PIA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적당한 압력을 유지시키는데 위에는 압력을 줄이는 방안이였다면 증가시키는 방안도 있다.
그것이 바로 PBU이다. 영어대로 해석하면 압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압력이 너무 작다면, LNG를 PBU로 이송한 후 자연기화시킨다.

이렇게 구불구불한 코일이 PBU다.
전열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해 얇고 구불구불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기화시킨 NG를다시 Tank로 이송시켜 압력을 향상시킨다.
음.. 그리고 더 말할게 뭐가 있을까..
아까 말한 Vent line 말고 stack을 보면 한개 더 굵은 파이프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Water Pipe다. Water Spray와 연결되는 소방설비로 볼 수 있다.
또한 LNG Tank는 방폭구역에 해당 하는데, 이것에 대한 법령으로 내화구조, 방폭구조 등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소방법과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두개가 엮여있어, 설비증축에 있어서 피곤하니 건설할 때 이것저것 잘 알아보고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다.
'L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G와 LNG의 차이 (2) | 2020.03.23 |
---|---|
LNG Supply Area(LNG 공급) 개요 (0) | 202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