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4)
LNG Tank & PBU(Pressure Build Up coil) 초저온 저장탱크들은 일단 2중케이싱은 기본이다.2중 케이싱 사이에 펄라이트와 같이 단열재를 넣는 경우도 있으며, 결국 목적은 단열이다. 하지만 아무리 단열을 잘해도 열전달이 발생하여 탱크 내부에서는 LNG의 기화가 발생한다.이러한 NG 또는 BOG들을 빼주어야 하는데이것들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유형이 또 달라진다.1) 버린다2) 다시 액화시킨다.3) 바로 쓴다.이렇게 세가지로 볼 수 있고 대부분은 1번과 3번을 혼용하는 체제이다. 즉 Vent line과 가스이송line이 필요하다. 내부의 압력과 레벨을 측정하여 버리거나 가스로 바로 써버리기때문에필수적인 계측기로 LT, LIA, PT, PIA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적당한 압력을 유지시키는데 위에는 압력을 줄이는 방안이였다면 증가시키는 방안도 있..
LPG와 LNG의 차이 LNG: Liquefied Natural Gas(액화 천연 가스) LPG: Liquefied Petroleum Gas(액화 석유 가스) LNG의 주성분은 메탄이고 LPG는 부탄이다. 이 두개의 채집은 LNG는 지하에 있는 천연가스그대로 빼오는 것이고, LPG는 원유를 증류하며 얻는 것으로 채집방법부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끓는점을 비교해보면 LNG는 약 -162도 , LPG는 -0.5도로 LNG가 현저히 더 낮은것을 알 수 있다. 즉 액화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선 LNG같은 경우는 초저온 설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소열을 비교해보면 LNG는 5966kcal/L, LPG는 7428kcal/L이다. 마지막으로 CO2배출량으로 보자면 LNG 1141g/L, LPG 1826g/L로 LNG가 ..
LNG Supply Area(LNG 공급) 개요 LNG는 액화천연가스로 일반 주택, LNG 차량, 복합발전소에서 쓰인다. 나는 이 중 세번째인 복합발전소에서의 설비에 대해 포스팅할 것이다. 발전소에서 LNG 공급은 주로 가스공사와 계약을 맺어 배관을 통해 공급받지만 그 양이 소량일 경우는 배관을 통해 실시간 공급이 아닌 저장탱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내가 맡은 설비는 후자에 속해있으며, 부속설비들에 대한 것들은 크게 다를바 없을 것이다. 설비들을 나열하자면 Storage Tank로 LNG, Odorant, Buffer 등이 있고 Vaporizer, Condensate, LNG HP Pump, Pressure Build Up Coil, Pressur Control System 등이 있다. 각 설비들은 각각 포스팅 할 예정이다. 이상으로 개요는 마치겠다.
운동계획 등, 이두 / 가슴, 삼두/ 어깨, 하체 원래 이렇게 3파트로 하는게 좋은데 헬스장 이용이 월, 화, 수, 목 이기 때문에 좀 애매하다. 스케쥴 먼저 계획해보면 월, 화, 수, 목 - 헬스장 금, 토, 일 - 맨몸운동, 등산 및 휴식 이렇게 하도록 하고 헬스장 이용이 4일이기 때문에 4파트로 나눠야 겠다. 목욜은 맨몸운동, 코어, 유산소를 해야겠다. 등, 이두 / 가슴, 삼두 / 어깨, 하체 / 맨몸운동, 코어, 유산소 오케이 이렇게 4파트로 하도록 하고 각 운동에 맞는 필수 루틴으로 월 - 데드리프트 화 - 벤치프레스 수 - 스쿼트 목 - 턱걸이(헬스장에 턱걸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이렇게 하도록 해야겠다. 그 외에 루틴들은 운동해가면서 적절히 조절해나가도록 하자. 운동시간은 19시 30분~ 20시 3..
시간이 빠르네 벌써 3월 중순이 지났다. 1.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되돌아보자. 2. 그리고 무엇을 할지 정해보자. 1.1 취업을 해서 정신없이 교육받고 놀고 1.2 60명이 넘는 동기들과 친하게 지내며 새로운 인간관계를 구축하였고 1.3 사택에 짐을 풀고 배정받은 근무지에 인사를 하며 정신없이 일을 배우고 1.4 일과 후의 가치를 찾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고 1.5 차를 사게 되었으며 1.6 코로나로 인해 근무격리를 실시하였고 1.7 최근에 들어선 넷플릭스에서 드라마를 보며 여가생활을 즐기는 중이다. 2.1 블로그 포스팅이 갈피를 못잡고 있다.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2.2 평일에 일-점심-일-저녁-헬스-사택의 사이클을 실천해야한다. 2.3 앞으로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잡아야 한다. 몸으로 따지..
열역학을 마치며.. 생각보다 더 대충써서 그런지 금방 끝나버렸다. 이후로 다른과목을 더 쓰는건 의미가 없는것 같고, 기존에 썻던 내용들을 리뉴얼 하고 블로그에 인기가 많아져서 댓글을 달면 답변을 해주면서 질의에 대한 게시글들을 포스팅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날이 올지는 모르겠으나.. 아무튼 이제 앞으로는 기계이론을 넘어 밸브의 구성요소 등과 같이 실적인 요소들을 살펴보며 필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더욱 뜻깊은 내용으로 포스팅을 시작해야겠다. 수요일부터 운동을 시작할까 하는데 제대로 포스팅을 할 수 있을런가 모르겠다. 일단 오늘은 킹덤이나 보면서 여가생활을 누리도록 해야겠다ㅎㅎ
[열역학]5장. 사이클, 증기 사이클을 안하고 넘기려다가 간단하게 작성해본다. 지난번에 카르노사이클에 대해 포스팅했다. 다시 말하자면 이상적이고 가역적인 열기관사이클이다. 열기관이라는 것은 열을 받아 일을 하는 기관(기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레를 보자. 물이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활용하여 수레를 돌리는데 물을 위에서 아래로 하지말고 아래에서 끓여서 수증기를 위로 올려보자. 그럼 수레가 반대로 돌아가겠지. 이런게 열기관이다. 열을 이용해서 어떤 기계적인 힘을 만들어내는 것. 수레가 발전기가 되어 전기를 생성하면 터빈과 같은 원리이다. 여하튼 열기관 사이클을 보자면 오토, 디젤, 사바테, 브레이튼, 랭킨 등등이 있다. 여기서 오토, 디젤, 사바테, 브레이튼은 공기 표준 사이클이라고도 불린다. 작동유체가 공기라는 것이다. 물론 해..
[열역학]4장. 열역학 제 2법칙( 엔트로피, 카르노사이클) 열역학 제 2법칙이란 에너지이동의 방향성과 비가역성에 대해 명시한 법칙이다. 열의 이동을 생각해보자. 뜨거운 물에 차가운 물체를 넣으면, 뜨거운 물의 열이 차가운 물체로 가서 시간이 지나면 열역학 제 0법칙에 따라 온도가 똑같아진다. 이런식으로 열은 뜨거운 쪽에서 차가운 쪽으로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Q. 반대로 뜨거운 쪽도 차가워지니 반대 방향으로 기술할 수 있는것 아닌가요? A. 열의 흐름을 봐야합니다. 차가운 쪽으로 열에너지가 유입되는 것입니다. 비가역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물이든 주전자를 오랫동안 데우면 증기가 주전자 뚜껑을 건드리면서 소리와 함께 진동하는 것을 알 수있다. 이 진동을 자세히보면 이동거리가 있으므로 무게와 이동거리의 곱인 일에너지가 될 수있다. 즉 열에너지로 시작하여 일을 하게 ..